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자격증)/고구려

한눈에 보는 고구려시대

한눈에 보는 고구려

🐉 하늘에서 내려온 호랑이의 나라, 고구려 완전 정리

‘고구려’ 하면 뭐가 떠오르시나요?
웅장한 기마부대, 광개토대왕비, 주몽의 전설, 삼국 중 제일 먼저 국가를 세운 나라…
맞습니다. 고구려는 단순한 고대국가가 아니라, 영토, 군사, 문화 모든 면에서 압도적인 스케일을 자랑한 나라였어요.
이번 글에서는 고구려의 시작부터 전성기, 멸망까지를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 고구려의 건국

  • 건국 시기: 기원전 37년
  • 건국자: 주몽(동명성왕)
  • 건국 설화: 하늘에서 내려온 해모수의 아들 주몽이 부여에서 탈출해 졸본에서 나라를 세움
  • 국호 의미: ‘고구려’는 ‘고씨가 다스리는 구려’라는 뜻

고구려는 원래 부여에서 갈라져 나온 소국이었지만, 뛰어난 군사력과 지도자를 바탕으로 급속히 성장합니다.


🏹 발전 과정과 왕들의 업적

고구려는 초기에 여러 부족 연맹체 형태였으나, 점차 중앙집권적 왕권 국가로 발전합니다.

📌 주요 왕 업적 정리

왕 이름주요 업적
태조왕 (1세기) 계루부 고씨 왕위 세습 확립, 옥저 정복, 왕권 강화 시작
고국천왕 (2세기) 부자상속, 을파소의 진대법 시행 (농민 구제), 지방 5부 정비
미천왕 (4세기) 낙랑군 축출 → 한반도에서 중국 세력 완전 몰아냄
소수림왕 율령 반포, 불교 공인, 태학 설립 → 체제 정비 완성
광개토대왕 (4세기 말~5세기) 영토 대확장 (한강 이북, 만주 일대, 왜 격퇴) → 정복왕의 상징
장수왕 (5세기) 수도 평양 천도, 남진 정책 → 한강 유역까지 진출
 

📌 광개토대왕비(중국 길림성 집안)와 장수왕의 무덤(고분벽화)은 고구려 전성기의 증거예요.


🛡 고구려의 군사력

고구려는 삼국 중에서도 가장 강한 군사력을 가진 나라였습니다.
특히 기병 중심의 전투, 산악 지형 활용, 성곽 도시 전략은 당대 최고의 전쟁술이었어요.

  • 기마 전사 중심의 군대 구성
  • 성곽 중심 방어 전략: 안학궁, 국내성, 평양성 등
  • 적극적인 정복 활동: 숙신·옥저 정복, 백제·신라 견제, 왜(일본) 격퇴

📚 문화와 제도

고구려는 무력만 센 나라가 아니에요. 정치, 문화, 종교, 학문에서도 뛰어난 발전을 이뤘습니다.

✅ 정치 제도

  • 중앙 귀족회의(제가 회의): 귀족 중심 정치
  • 5부(중앙) → 5부(지방): 행정 구역 체계
  • 상대등, 대대로, 막리지 등 귀족 관직 존재

✅ 교육과 종교

  • 태학 설립 (소수림왕): 귀족 자제 교육
  • 불교 수용 (372년, 소수림왕): 사상 통합과 왕권 강화에 도움
  • 도교와 샤머니즘도 함께 공존

✅ 무덤 문화

  • 돌무지무덤 → 굴식돌방무덤으로 변화
  • 고분벽화: 천문도, 무용도 등 생생한 당시 문화 기록
  • 대표 예시: 무용총, 강서대묘, 장군총

🧭 전성기와 대외 관계

고구려는 5세기 장수왕 때 한강까지 영토를 확장하면서 전성기를 맞이합니다.
중국의 북위, 남조, 그리고 한반도의 백제·신라, 와도 끊임없이 충돌했죠.

  • 광개토대왕: 백제 공격, 신라 도와 왜 격퇴
  • 장수왕: 백제의 수도 한성 함락, 개로왕 전사 → 백제 충격
  • 이후 중국 북조와 남조 사이에서 균형 외교 펼침

🏴 멸망과 그 후

고구려는 6세기 이후 신라·당나라 연합군과의 전쟁으로 점차 쇠퇴합니다.

  • 연개소문 등장 (7세기): 당과 격돌, 일시적 전성기
  • 그러나 그의 사후 권력 분열 → 약화
  • 668년: 당나라와 신라 연합군에게 평양성 함락, 고구려 멸망

고구려의 유민 일부는 이후 **발해 건국(698년)**의 기반이 됩니다.


📌 핵심 요약

항목내용 요약
건국자 주몽 (기원전 37년)
전성기 광개토대왕, 장수왕 (4~5세기)
수도 국내성 → 평양성
군사력 기마 중심, 정복 국가, 성곽 전략
제도·문화 율령, 불교, 태학, 고분벽화
멸망 668년, 신라·당나라 연합군에 의해 멸망
 

✨ 마무리: 왜 고구려는 지금도 회자될까?

고구려는 단순한 고대 국가가 아닙니다.
그들은 “국경”이란 개념이 모호하던 시기에, 강력한 정복력, 독립적인 문화, 자부심 강한 정체성을 가진 민족이었습니다.
오늘날에도 고구려는 역사적 자부심의 상징, 그리고 동북공정 문제에서 자주 언급되는 중요한 국가예요.


💡 보너스 정보

  • 광개토대왕비: 414년 세워진 대형 비석, 당시 정복 활동 기록
  • 무용총: 무용 장면을 담은 고분벽화로, 고구려인의 생활상 잘 보여줌
  • 고분벽화 유네스코 등재: 고구려 고분군은 세계문화유산